css 강의
컨텐츠에는 대부분 max width가 정해져 있다.
그렇다고 해서 아예 웹사이트 자체에 max-width를 정해놓지는 않는다.
그럼 어떡해야하는가???
각 컴포넌트는 100%를 차지하되, max-width를 정해놓아야만 한다.
max-width는 :root에다가 정의한 뒤, 컨테이너를 이용해서 사용한다.
width : 100%
max-width :1200px
magin : 0 auto
padding : 10px
아이콘을 받는 패미키 -> lucide-react
링크나 버튼에는 패딩을 적절하게 줘서, 사이즈를 키우는 것도 좋다.
개인 프로젝트 트러블 슈팅
이미지 파일의 첨부.
이미지 파일을 첨부하기 위해서는 input file을 써야한다는 점은 알고 있었는데, 이걸 폼데이터화하는 방법, 폼데이터 안에 있는 데이터를 조회하는 방법을 모르고 있었다.
for (let [key, value] of formData.entries()) { console.log(`${key}:`, value); }
파일을 다룰 때는 e.target.files의 0번째 배열을 불러와야 한다는 걸 알았으며, 콘솔로 폼데이터를 확인하려면 저런 서식을 따라야한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이런 로직을 사용할 때, formData 안에는 e.target이 들어가면 안 된다. 여기서 폼 데이터의 생성은 일종의 폼데이터라는 박스를 만들어서, request할 때 포장해 보내주는 용도로 쓰기 때문이다.
visibility를 갱신해주는 로직에서의 실수.
patch를 할 때에는 , 뒤에 단순 toggle만 넣는다고 끝나는 게 아니라, 저렇게 객체 형식으로 무엇을 어떻게 바꿀 지를 정확하게 명시해줘야 한다. toggle만 넣었다가 계속 실패했었는데, 그 이유를 늦게서야 알아냈다.
다른 사람에겐 비공개된 카드가 보이지 않게끔. 비공개여도 내 카드는 내게 보이게끔.
2시간 정도 머리를 싸맸는데, 생각보다 단순한 문제였다. 조건문에 or 연산자로 저렇게 작업을 걸어주니 비공개된 게시물은 자신에게만 보이게끔 잘 수정되었다.
'본 캠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액트 숙련 주차. (6) (1) | 2024.11.28 |
---|---|
리액트 숙련 주차. (5) (0) | 2024.11.27 |
리액트 숙련 주차. (3) (2) | 2024.11.25 |
리액트 숙련 주차. (2) (0) | 2024.11.22 |
리액트 숙련 주차. (1) (3) | 2024.11.21 |